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혈자리로 보는 세상만사] 이누이트 막대기와 노궁혈의 교훈

손바닥 한가운데 혈자리를 침뜸의학에서는 ‘노궁혈(勞宮穴)’이라고 합니다.   노궁혈은 둘째와 셋째 손 허리뼈 사이 가로 손금 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가볍게 주먹을 쥐었을 때 손바닥에 중지가 닿는 곳입니다.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로 소화가 잘되지 않을 때나 분노가 치밀어 올라 손에 땀이 많이 나거나 손바닥이 뜨거운 즉, 심장의 허증과 실증에 쓰는 경혈자리입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허심합도(虛心合道)’라는 말이 있습니다. 마음을 비워야 도(道)에 다가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도라는 것은 어렵고 난해한 이론이 아닙니다.지나친 감정의 폭은 오장의 균형을 깨뜨리며, 심하면 원래 상태를 회복하지 못할 정도의 파괴력을 지닌 아주 무서운 병의 원인입니다.     “잡념이 없어야 정신이 통일이 되며 기가 모인다”라는 옛 말씀을 잘 새겨야 합니다. 또 동의보감에 ‘희즉기완(憙則氣緩)’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기뻐하면 긴장되어 있는 내 몸의 기운이 풀려서 원활한 기혈의 순환을 돕는다는 뜻입니다.     마음이 즐거워 웃기도 하지만 또한 일단 웃으면 마음이 즐거워지기도 합니다. 습관적으로 하루에 한번은 박장대소하며 늘 입가에 미소를 짓게 되면 마음이 여유로워지고 내 몸과 오장육부가 부드럽고 유연해지니 생명의 본성은 부드러움이란 뜻입니다.   북극에 사는 에스키모 ‘이누이트’들은 분노를 현명하게 다스릴 줄 압니다. 그들은 화가 치밀어 오르면 하던 일을 멈추고 무작정 걷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양 손바닥 노궁혈에 무겁고 긴 막대기를 들고 분노의 감정이 스르르 가라앉을 때까지 걷습니다. 그리고 충분히 멀리 왔다 싶으면 그 자리에 한 손에 든 막대기 하나를 꽂아두고 온다고 합니다. 그래도 화가 안 풀리면 더 멀리 가서 또 다른 손의 무겁고 긴 막대기를 또 꽂고 온다고 합니다.     그들이 막대기를 두고 오는 이유가 있습니다. 미움, 원망, 서러움으로 얽히고 설킨 누군가에게 화상을 입힐지도 모르는 지나치게 뜨거운 감정을 그곳에 남겨두겠다는 의지입니다. 활활 타오르는 분노는 애당초 내 것이 아니라 내가 싫어하는 사람에게서 잠시 빌려온 것이라고 생각하는 지혜이기도 합니다. 분노가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바람이자 빌려온 것이라면 빨리 보내줘야 한다는 생각이기도 합니다.   격한 감정이 날 망가트리지 않도록 마음속에 문을 하나 만들어 분노가 나가도록 하는 장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불교의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합니다.     마음을 안정시키는 노궁혈이 최근 한국에서 다시 회자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당시 TV토론에서 나왔을 때 손바닥에 ‘왕(王)’자를 썼던 곳이 노궁혈입니다. 이로 인해 정치권에 주술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왕자 논란’은 지나치게 심각하게 받아들여진 측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윤 대통령이 동의보감의 ‘허심합도’와 ‘희즉기완’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했다면, 정치적 논란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한국 뿐만 아니라 양극으로 대치하는 미국 정치인들에게도 노궁혈에 자극이 필요합니다. 국민들에게 정치적 혼란보다 안정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을 다스리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운영에도 필수적인 덕목이라는 점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강병선 / 침뜸병원 원장혈자리로 보는 세상만사 막대기 교훈 막대기 하나 손바닥 한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2025-02-17

[혈자리로 보는 세상만사] 인중(人中)과 구시화문 (口是禍門)

입(口)이란 무엇입니까? 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입을 통해서 밥도 먹고 과일도 먹고 사람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먹는 음식물이란 땅의 기운(地氣·지기)를 받고 자란 것들입니다. 이렇게 보면 입은 지기가 들어가는 곳입니다.   그러면 천기(天氣)가 들어가는 곳은 어디입니까? 바로 코(鼻)입니다. 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를 흡입합니다. 산소는 곧 천기인데 천기를 흡입하는 코와 지기를 섭취하는 입의 사이에 있는 부위가 바로 인중(人中)이라는 혈자리입니다.     인중은 ‘사람의 가운데’란 뜻인데 이 부위가 인중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천기와 지기의 중간이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인중 위쪽으로는 구멍이 2개씩입니다. 콧구멍도 2개, 눈도 2개, 귓구멍도 2개입니다. 그런데 인중 밑으로는 구멍이 한 개씩입니다. 입도 1개, 배꼽도 1개, ,항문도 1개, 요도(尿道)도 1개, 산도(産道)도 1개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구멍이 2개인 신체기관은 많이 쓰라는 뜻입니다. 냄새도 잘 맡아보고 열심히 잘 살펴보고 잘 귀담아 들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1개인 신체기관은 아껴 쓰고 조심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대표적으로 말은 잘못하면 재앙이 들어오게 합니다. 그래서 ‘구시화문(口是禍門) 구시복문(口是福門)’이라는 사자성어가 나왔습니다. 입은 잘못 쓰면 화를, 잘 쓰면 복을 불러들인다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전당서(全唐書) 설시편(舌詩篇)에 나오는 한 구절에서 비롯됐습니다.   당나라가 망한 뒤 후당(後唐)때 입신하여 재상을 지낸 풍도(馮道)라는 정치가가 있었습니다. 그는 ‘오조팔성십일군(五朝八姓十一君)’을 섬긴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섯 왕조에 걸쳐, 여덟 개의 성을 가진, 열한 명의 임금을 섬겼다는 말이니 그야말로 처세에 능한 달인이었습니다.   풍도가 남긴 처세관은 이렇습니다.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요,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로다.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가는 곳 마다 몸이 편안하리라.(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閉口深藏舌, 安身處處宇)’   경북 예천군 지보면 대죽리 한대마을 앞에는 말무덤이란 게 있습니다. 말(馬)이 아닌 말(言)을 묻은 무덤입니다. 이른바 언총(言塚)입니다.   전설은 이렇습니다. 옛날부터 이 마을에는 여러 성씨가 살았는데 각 문중간의 싸움이 그칠 날이 없었다고 합니다. 사소한 말 한마디가 씨앗이 돼 큰 싸움으로 번지는 일이 잦아지자 마을 어른들은 원인과 처방을 찾기에 골몰했습니다.     어느 날 풍수가가 이 마을을 지나다가 산의 형세를 보고는 한 마디를 던지면서 처방을 내렸다고 합니다.     “좌청룡은 곧게 뻗어 개의 아래턱 모습이고 우백호는 구부러져 위턱의 형세라 개가 짖어대는 형상, 즉 마을이 항상 시끄러운 지세이니 개 주둥이 송곳니 모양인 논 한가운데에는 바위 세 개를 세우고 앞니 모양이 위치한 밭 가운데에는 개가 짖지 못하도록 재갈 바위 두 개를 세우라.”     그리고는 “해마다 새해 정월에는 모든 마을 사람들이 사발 하나씩을 가져와 나쁜 말이나 싸움의 발단이 될 말을 뱉어 사발에 담아 마을 입구 ‘개주둥산’에 구덩이를 파고 묻으라”는 추가 처방도 내렸다고 합니다.     마을 사람들이 그해부터 풍수가의 처방대로 따르니 마을에서 모든 말싸움, 뒷담화가 사라지고 마을이 평온해 져서 지금까지 이웃 간에 두터운 정이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입니다. 언론 뿐만 아니라 각종 SNS로 언어가 홍수처럼 쏟아집니다. 필요없는 말들이 필요없는 때에 필요없이 솟아납니다. 백마디 말보다 침묵이 더 강력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닐까요.   2025년 푸른 뱀의 해인 청사년 새해 ‘인중(人中)’과 ‘구시화문(口是禍門)’의 함의를 떠올려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강병선 / 강병선 침뜸병원장혈자리로 보는 세상만사 인중 인중 위쪽 마을 입구 마을 어른들

2025-01-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